경제포커스
고용 시장 둔화, 청년층은 더 큰 타격? 취업자 감소 원인 분석
2024-04-12 11:12
특히 20대와 40대 취업자 수가 급격히 감소했지만 60세 이상 취업자는 상당히 늘었다. 이러한 특이한 추세는 현재의 경제 상황과 더불어 고용 시장의 변화를 의미심장하게 반영하고 있다.
산업별로 보면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, 정보통신업, 운수 및 창고업 등에서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. 특히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에서는 9만8000명, 정보통신업에서는 6만7000명의 증가를 기록했다. 반면 농림어업과 교육서비스업에서는 취업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. 이러한 산업 간의 불균형은 전반적인 고용 시장의 동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.
고용 형태도 다양한 변화를 보였다. 상용근로자와 임시근로자는 모두 증가했으나, 일용근로자는 감소했다. 이러한 추세는 고용 시장의 구조적인 변화와 함께 일자리의 질과 안정성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.
또한 15~64세 고용률은 상승했으나, 실업률은 조금 상승하는 등 고용 시장의 혼조한 신호도 나타났다. 이러한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고용 시장의 현황과 미래 전망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.